12월, 2012의 게시물 표시

rbenv 설치

멀쩡하게 잘 돌아가던 루비 프로그램이 갑자기 오류를 발생하며 작동하지 않습니다. 혹시 rvm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에 rbenv로 바꾸어 보았습니다. rvm emplode brew update brew install rbenv brew install ruby-build brew install openssl  brew install readline CONFIGURE_OPTS="--with-openssl-dir=`brew --prefix openssl` --with-readline-dir=`brew --prefix readline`" CFLAGS=-O2 rbenv install 2.0.0-preview2 rbenv global 2.0.0-preview2 sublime2의 ruby package에서 Ruby.sublime-build 파일의 "cmd"를 홈 디렉토리이하 .rbenv/shims/ruby로 변경 openssl을 설치하지 않으면 gem 설치시 에러가 발생하고 readline은 irb에서 한글을 사용하려면 필요합니다.

LaunchAgent 초간단 정리

OSX에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을 지정하기 위해서는 launchd로 데몬이나 에이전트를 사용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애플의 다큐먼트 나 참조 사이트 를 참고 하시고 다음은 제가 필요한 내용만 간단히 적은 것입니다. plist 파일은 ~/Library/LaunchAgent에 위치하며 Program Argument는 풀 패스로 지정해 준다 루비 스크립트도 지정가능하며 실행가능하도록 파일권한을 수정해 주어야 실행된다 launchctl의 load/unload 명령으로 launchd가 파일을 읽어들이고 job을 준비한 다음 필요한 경우 실행된다. start/stop 명령은 잡을 실행시키거나 중단할 때 사용 반복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잡은 StartInterval, StartCalendarInterval로 지정 파일이 변경될때 잡이 실행되어야 하는 경우 WatchPaths로 지정

루비, 유니코드, 한글

위키피디아 에 의하면 한글 글자(Hangul Syllabus)의 유니코드는 AC00에서 D7AF까지 11184글자가 배당되어 있습니다. 이를 한글로 나타내면 '가'(AC00)가 첫번째 글자이고, '힣'(D7A3)이 표현할 수 있는 마지막 글자가 되는군요. 그외 'ㄱ'(1100)부터 11FF까지 256개의 한글 자모(Hangul Jamo)외 3130부터 318F까지의 호환용 한글 자모가 있네요. OSX의 한글 입력기 바람을 사용하는 경우 'ㄱ'이 3131을 사용합니다. (0xAC00..0xD7A3).to_a.pack('U*') # 한글글자 모두 포함한 문자열 ('가'..'힣').to_a.join.unpack('U*') # 한글 글자를 다시 unicode(숫자)로

루비에서 한글 함수 / 변수 이름 사용

Ruby 1.9 부터는 함수와 변수 이름에 유니코드 문자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군요. # encoding: utf-8 def 사각형넓이(넓이, 높이) 넓이 * 높이 end 답 = 사각형넓이(2, 3) puts 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