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잉 머신 운동 2달째
지난번 로잉머신 구입 포스팅을 한지도 2달이 지나갑니다. 그 사이 세 식구 모두 나름 꾸준하게 운동했고 모두가 어느 정도의 효과를 체험하고 있습니다. 아는 것은 없지만 로잉에 대해 느낀점에 대해 포스팅해 봅니다.
로잉의 운동 방식은 땅에서 물건을 들때와 동일합니다. 물건을 잡고 먼저 다리를 이용해서 힘을 얻은 다음 허리를 펴고 어깨 뒤쪽의 근육을 이용해서 명치부위까지 물건을 들어 올리는 것이죠. 로잉 머신에 앉은 사람의 모습을 시계방향으로 90도 돌린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더 쉬울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때 가장 중요한 점은 허리를 곧게 펴는 것입니다. 무게가 가벼울 때는, 즉 공기 저항 수치를 낮게 놓고 살살 잡아 당길때는 허리를 구부린 자세도 크게 무리가 가지 않을 수 있지만 저항과 힘을 늘일수록 지렛대의 받침과 같이 요추에 힘이 많이 들어 가므로 부상을 입기 쉽습니다. 항상 허리가 일자로 펴진채 있도록 힘을 주는걸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운동전에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지만 초반에 운동량을 약하게 시작해서 점점 늘리는 것으로 대치하겠습니다. 자리에 앉아서 공기 저항이 얼마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 다음 손잡이를 아래쪽 거치대까지 당겨 놓습니다. 자리를 앞뒤로 몇번 움직이면서 좌석 아래 바퀴와 발받침대의 고정은 괜찮은지 확인해 봅니다.
어깨와 팔꿈치에 힘을 빼고 손잡이를 잡은채 다리의 힘만으로 앞뒤로 왔다갔다 하면서 느껴지는 저항감은 적당한지, 특히 어깨 뒤쪽 근육에 당겨지는 느낌이 드는지 확인합니다. 어깨와 팔에 힘을 주고 있으면 잘 느껴지지 않지만 힘을 빼면 근육이 늘어나는 것이 느껴집니다. (이 힘을 느끼는 것이 개인적으로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리힘으로 로잉을 하다 이제는 허리를 살짝 뒤로 젖힌다는 느낌과 함께 상체를 써서 손잡이를 명치 부위까지 잡아 당깁니다. 이때 끝까지 잡아당기면 아까 힘을 뺐을때 늘어난다는 느낌이 들었던 어깨 뒤쪽 근육이 완전히 수축한다는 느낌이 듭니다. (아마도 이 느낌을 무한도전의 로잉 코치분은 끝까지 잡아챈다고 표현했던것 같습니다) 이 느낌이 들지 않고 명치까지 손잡이를 잡아당기지 않는것은 상체를 완전히 사용하지 않고 로잉을 하는 셈이고 운동효율도 떨어지게 됩니다. 물건을 드는 비유로 한다면 2/3쯤 들어올리다 다시 내려놓는다고 할까요. 명치까지 손잡이를 완전히 채서 당기지 못하고 있다면 공기 저항을 줄이거나 좀 더 천천히 잡아당기면서 자세를 바로 잡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상체를 좀 더 사용하게 되면 분당 스트로크 수는 동일하게 하더라도 500 미터 주행 시간이 좀 더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앞에서 힘을 줬던것과 반대 순서로 힘을 빼면서 몸을 앞으로 이동합니다. 이때 체인을 너무 위, 아래로 이동하거나 좌우로 비틀면 체인에서 소리가 납니다. 체인에 무리가 갈뿐 아니라 자세가 올바르지 않다는 것을 알려주는 셈이니 여기에도 신경을 씁니다.
위 과정을 원하는 운동시간이나 거리에 다다를때까지 반복합니다. 처음에는 자세에 신경쓰면서 하나, 둘, 셋, 넷과 같이 과정에 번호를 붙이며 반복하다보면 점점 집중하면서 속도도 빨라지고 몸의 내부 온도가 천천히 올라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계속해서 반복하다보면 어느새 숫자를 세는 것도 잊어버리고 기기 소리와 자신의 숨소리만 느끼면서 머리속에서 특별한 생각이 없어지는 단계에 이르게 됩니다. 처음에는 이 단계에 도달하기 어려울지 모르겠습니다만 몇번 경험하고 나면 점점 더 쉽게 다다르게 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운동을 마치고 나면 기분이 좀 더 나아지고 복잡한 생각들도 어느 정도 정리되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체력, 보기좋은 몸매, 집중력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구요. 어쩌면 이런 장점 때문에 열심히 살고 원하는 것을 성취하는 사람들 중에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사람들이 많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식사량을 조금 줄이고 로잉운동을 병행한지 2달이 조금 지난 지금 점심 시간 전인 탓도 있겠지만 허리 둘레가 거의 벨트 2칸 정도 줄어든것을 보고 기분이 좋았습니다. 자전거와는 또 다른 매력이 있는 운동인것 같습니다.
로잉의 운동 방식은 땅에서 물건을 들때와 동일합니다. 물건을 잡고 먼저 다리를 이용해서 힘을 얻은 다음 허리를 펴고 어깨 뒤쪽의 근육을 이용해서 명치부위까지 물건을 들어 올리는 것이죠. 로잉 머신에 앉은 사람의 모습을 시계방향으로 90도 돌린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더 쉬울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때 가장 중요한 점은 허리를 곧게 펴는 것입니다. 무게가 가벼울 때는, 즉 공기 저항 수치를 낮게 놓고 살살 잡아 당길때는 허리를 구부린 자세도 크게 무리가 가지 않을 수 있지만 저항과 힘을 늘일수록 지렛대의 받침과 같이 요추에 힘이 많이 들어 가므로 부상을 입기 쉽습니다. 항상 허리가 일자로 펴진채 있도록 힘을 주는걸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운동전에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지만 초반에 운동량을 약하게 시작해서 점점 늘리는 것으로 대치하겠습니다. 자리에 앉아서 공기 저항이 얼마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 다음 손잡이를 아래쪽 거치대까지 당겨 놓습니다. 자리를 앞뒤로 몇번 움직이면서 좌석 아래 바퀴와 발받침대의 고정은 괜찮은지 확인해 봅니다.
어깨와 팔꿈치에 힘을 빼고 손잡이를 잡은채 다리의 힘만으로 앞뒤로 왔다갔다 하면서 느껴지는 저항감은 적당한지, 특히 어깨 뒤쪽 근육에 당겨지는 느낌이 드는지 확인합니다. 어깨와 팔에 힘을 주고 있으면 잘 느껴지지 않지만 힘을 빼면 근육이 늘어나는 것이 느껴집니다. (이 힘을 느끼는 것이 개인적으로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리힘으로 로잉을 하다 이제는 허리를 살짝 뒤로 젖힌다는 느낌과 함께 상체를 써서 손잡이를 명치 부위까지 잡아 당깁니다. 이때 끝까지 잡아당기면 아까 힘을 뺐을때 늘어난다는 느낌이 들었던 어깨 뒤쪽 근육이 완전히 수축한다는 느낌이 듭니다. (아마도 이 느낌을 무한도전의 로잉 코치분은 끝까지 잡아챈다고 표현했던것 같습니다) 이 느낌이 들지 않고 명치까지 손잡이를 잡아당기지 않는것은 상체를 완전히 사용하지 않고 로잉을 하는 셈이고 운동효율도 떨어지게 됩니다. 물건을 드는 비유로 한다면 2/3쯤 들어올리다 다시 내려놓는다고 할까요. 명치까지 손잡이를 완전히 채서 당기지 못하고 있다면 공기 저항을 줄이거나 좀 더 천천히 잡아당기면서 자세를 바로 잡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상체를 좀 더 사용하게 되면 분당 스트로크 수는 동일하게 하더라도 500 미터 주행 시간이 좀 더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앞에서 힘을 줬던것과 반대 순서로 힘을 빼면서 몸을 앞으로 이동합니다. 이때 체인을 너무 위, 아래로 이동하거나 좌우로 비틀면 체인에서 소리가 납니다. 체인에 무리가 갈뿐 아니라 자세가 올바르지 않다는 것을 알려주는 셈이니 여기에도 신경을 씁니다.
위 과정을 원하는 운동시간이나 거리에 다다를때까지 반복합니다. 처음에는 자세에 신경쓰면서 하나, 둘, 셋, 넷과 같이 과정에 번호를 붙이며 반복하다보면 점점 집중하면서 속도도 빨라지고 몸의 내부 온도가 천천히 올라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계속해서 반복하다보면 어느새 숫자를 세는 것도 잊어버리고 기기 소리와 자신의 숨소리만 느끼면서 머리속에서 특별한 생각이 없어지는 단계에 이르게 됩니다. 처음에는 이 단계에 도달하기 어려울지 모르겠습니다만 몇번 경험하고 나면 점점 더 쉽게 다다르게 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운동을 마치고 나면 기분이 좀 더 나아지고 복잡한 생각들도 어느 정도 정리되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체력, 보기좋은 몸매, 집중력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구요. 어쩌면 이런 장점 때문에 열심히 살고 원하는 것을 성취하는 사람들 중에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사람들이 많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식사량을 조금 줄이고 로잉운동을 병행한지 2달이 조금 지난 지금 점심 시간 전인 탓도 있겠지만 허리 둘레가 거의 벨트 2칸 정도 줄어든것을 보고 기분이 좋았습니다. 자전거와는 또 다른 매력이 있는 운동인것 같습니다.
댓글